전체 글 1198

어릴적 책에서 읽던 장항제련소

이제는 장항에서 무엇을 하는지 알 수도 없지만, 우리 초등학교때만해도, 장항 제련소가 교과서에 실려있었다. 그래서 장항하면 제련소가 떠오른다. 1936년 비철금속 제련소로 지어진 장항제련소는 광복 후에도 마땅한 산업시설이 없던 우리나라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었다. 그러나, 이제는 잊혀진 이름이 되었다. 현재는 LG메탈 장항공장으로 바뀌어 여전히 가동중이다. 마치 고래등같은 언던 위에 굴뚝이 솟아있다. 제련소의 연기를 쉽게 빼기위해 언덕위에 굴뚝을 만들었다고 한다. 바로 뒤로는 바다가 있다.맞은 편 군산이 보이는 곳이다. ========================== | 불펌 금지 | ==========================

강경의 죽림서원

강경 죽림서원은 율곡 이이, 우계 성혼, 사계 김장생, 정암 조광조, 퇴계 이황, 우암 송시열 등의 선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후학을 교육하기 위해, 인조 4년(1626년)에 세워진 서원이다. 처음에는 이이, 성혼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당시에는 황산사라고 불리었고, 이후에 황산서원이라 불리었다. 이후, 김장생이 추가되었고, 현종 6년(1665년)에 임금이 '죽림'이라는 이름을 받아, 이름이 죽림서원이 되며, 조광조, 이황, 송시열의 위패가 추가되었다. 대원군 시절에 서원철폐령에 따라 철폐되었다가, 1965년에 다시 세웠다고 한다. 우리가 갔을 때는 문이 굳게 닫혀있어, 들어가지는 못하고, 담장 너머로만 볼 수 있었다. ========================== | 불펌 금지 | ==========..

벌판위의 돌다리, 미내다리

벌판에 웬 돌다리가 놓여있다. 강도 없고, 물도 안 보이는데..... 미내다리는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돌다리이다. 3개의 아치형태로 만들어진 이 다리를 순전히 돌만 쌓아서 만들기 위해서는 역학을 공부해야 했을텐데..... 원래는 미내라는 하천이 있고, 이를 건너던 다리가 미내다리라고 한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의 수로정비에 의해 물길이 바뀌면서 지금은 하천 위가 아닌 제방 위에 있게 되었다고 한다. ========================== | 불펌 금지 | ==========================

썰물이면 드넓은 황무지로 바뀌는 매향리 앞바다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의 고온리선착장으로 가면, 우측으로 바다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밀물 때에는 바닷물이 찰랑거리지만, 썰물 때에는 바닷물이 사라지고, 드넓은 황무지가 눈에 들어온다. 바로 앞의 구비성, 응도, 룡도, 등의 작은 섬들이 시멘트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썰물 때에는 시멘트 도로를 따라 차로 이들 섬들을 갈 수 있다. 건너편 당진 현대제철소가 보이는 이곳은 또 다른 느낌의 풍경을 보여준다. ========================== | 불펌 금지 | ==========================

강경포구가 한 눈에 보였을 옥녀봉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에 있는 강경은 포구라는 단어가 자연스럽게 따라붙는 곳이다. 그러나, 금강하구댐이 생기며 바닷길이 막혀, 이제는 포구가 없다. 하지만 옛 영화를 상상할 수 있는 곳이 옥녀봉이다. 옥녀봉에서는 옛 강경의 포구풍경이 한 눈에 들어왔을 것이다. 이제는 사라졌지만... 원래 옥녀봉은 강경산이라고 불리었다. 그리고, 정상에는 정자와 함께 봉수대가 있다. ========================== | 불펌 금지 | ==========================

개화기의 개량식 한옥, 선병국 가옥

충남 보은에 있는 선병국 가옥은 1984년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한옥으로 보성선씨 가문의 고택이다. 하지만, 선병국 가옥은 수백년 된 고택은 아니다. 1900년대 초에 지어진 집으로, 개화기 초의 개량식 한옥양식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민속문화재이다. 과거의 고택들과는 달리, 벽돌이 사용되었고, 사랑채나 안채의 크기도 다른 고택들보다 훨씬 크다. 또한, 복도채가 있어, 비바람이 쳐도 제례 등을 치루는데 지장이 없게 되어 있다. ========================== | 불펌 금지 | ==========================

충북 옥천 대청호반의 장계국민관광지

옥천군 대청호 주변에 조성된 장계국민관광지는 향토전시관, 놀이시설, 그리고 원두막 등이 갖춰진 휴식공간이다. 향토전시관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들은 민자시설업체가 설치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곳곳에 옥천이 자랑하는 시인, 정지용의 시들이 다양한 형태로 가는 이들에게 말을 건다. ========================== | 불펌 금지 | ==========================

무의도 선착장에서...

무의도는 영종도의 끝에 있는 잠진도 선착장에서 페리로 잠깐이면 갈 수 있는 작은 섬이다. 영화 '실미도'로 유명한 실미도도 이곳과 연결되어 썰물에는 걸어서 갈 수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무의도는 비추다. 영화 세트장도 이제는 없고, 그나마 해수욕장도 그리 좋아 보이지도 않는데, 입장료를 받고.... 한번 다녀온 뒤로는 안 가게 되는 곳 중의 하나다. 처음이자 마지막 무의도 기념으로 선착장에서 한장.... ========================== | 불펌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