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98

폐허만 남은 철원제일교회

지금은 폐허만 남은 철원제일교회는 1937년에 2층 석조건물로 만들어진 철원 제일감리교회이다. 현무암과 화강암으로 세워진 교회건물은 당시 이화여대 본관건물을 설계한 윌리엄 보리스가 설계한 건물이다. 그러나, 해방 후 철원이 북한땅이 되고, 다시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철원제일교회도 험난한 길을 걸어야 했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인민군 병영으로 사용되었고, 결국 폭격을 당해 잔해만 남게 되었다. 바로 옆에 철원 노동당사 건물이 있는 이곳은 구 철원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벌판 한가운데 남게 되었다. 바로 옆에는 새로운 교회 건축을 위한 공사가 지난 2011년말부터 시작되어, 점차 새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 | 불펌 금지 | =====================..

종교/개신교 2013.07.19

미시령 너머 울산바위가 보이는 휴게소, 울산바위전망대

미시령 터널을 나와 설악으로 들어서는 길을 따라 조금 내려가다보면, 우측으로 작은 휴게소와 공원이 보인다. 예전에는 울산바위전망대라는 이름이 있었던 듯 싶은데, 어찌된 일인지, 네이버나 다음의 지도에도 안나온다. 스카이뷰로는 보이는데... 이곳은 설악으로 향하는 길에만 들를 수 있다. 설악에서 서울을 향해 미시령터널 방향으로 가다보면, 길 건너편에 있다. 울산바위가 한눈에 들어오는 이곳 이외에는 차를 세우고 사진을 담기에 적합치않다. 차를 세울 곳도 없지만, 대부분 나무가지가 앞을 가려 이를 피해 사진을 담기가 쉽지않다. 설악산 쪽으로 갈 때마다, 봄이건 겨울이건 담아봤지만... ㅠㅠ ========================== | 불펌 금지 | ==========================

김포시에 하나뿐인 포구, 대명항

대명포구로 불리는 대명항은 경기도 김포시에서는 하나밖에 없는 항구다. 강화도 초지대교를 향해 가다가, 초지대교에 거의 다 와서 우측으로 조금 빠지면 만나게 되는 곳이다. 어판장에서는 꽃게, 대하를 비롯한 각종 수산물을 판매하고 있고, 서울서도 가까워 찾는 이들이 적지 않은 곳이다. 혹은, 강화도를 오가는 길에 들러도 좋을 듯 싶다. 바로 옆에는 군함을 개조한 함상공원이 있지만, 그런 건 패쑤~~~ ^^; ========================== | 불펌 금지 | ==========================

오산에 있는 경기도립수목원, 물향기수목원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물향기수목원은 경기도가 운영하는 경기도립수목원이다. 경기도가 2000년부터 조성하여, 2006년 5월 4일에 개장한 이곳은 물, 나무, 인간의 만남을 주제로 약 10만평의 부지에 습지생태원, 수생식물원, 등 물을 좋아하는 식물을 중심으로 조성되었다. 수목원 내에는 매장이나 식당이 없다. 따라서, 입장할 때, 간단한 음료나 도시락을 알아서 준비해야 한다. 대신에 도시락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그늘아래 테이블과 벤치가 있다. ========================== | 불펌 금지 | ==========================

남한강과 섬강이 만나는 원주 흥원창

원주 흥원창은 남한강과 섬강이 만나는 곳으로, 고려시대부터 조세를 걷던 조창(漕倉)이 있던 곳이다. 두 강이 만나는 곳이라, 옛날에는 수상교통의 요충지였던 곳이다. 강원도 지역에서 걷어진 조세를 이곳에서 배로 한양까지 수송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목적이 일몰촬영이다보니, 흥원창 유적은 패쑤~~~ 대신에 바로 옆 강변으로 갔다. 이곳 강가도 잘 정비되어 있고, 자전거길이 연결되어, 남한강변을 따라 자전거 여행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원주에서 일몰을 담을 수 있는 곳으로 더 친숙하게 다가온다. ========================== | 불펌 금지 | ==========================

아스라한 흔적만 남은 원주 법천사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에 있는 법천사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고려시대에 번창했던 법천사가 있던 곳이다. 고려 중기 불교는 법상종과 화엄종의 양대교단으로 나뉘었는데, 법천사는 법상종계의 사찰로, 지광국사 해린이 수학하고 입적한 곳이라고 한다. 임진왜란 당시에 전소되고, 이후에 중창되지 못해, 터만 남게 되었다. 지금은 불에 타지 않은 지광국사현묘탑비, 부도전지, 당간지주 등의 석조물만 일부 남아있다. 원래 이곳에 있던 지광국사현묘탑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남아있는 것이 별로 없다보니, 엄한 개구리, 잠자리랑만 놀다 왔다... ㅠㅠ ========================== | 불펌 금지 | ==========================

종교/불교 2013.07.18

남북 합작으로 세워진 교량, 승일교

개성은 남쪽 땅이었지만, 현재는 북쪽 땅이듯이, 철원은 한국전쟁 이전에 북쪽 땅이었다. 승일교는 1948년 북한이 건설을 시작하였으나, 한국전쟁으로 중단된 것을, 휴전 이후에 남한이 마무리한 교량이다. 결과적으로 기초 공사와 교각 공사는 북한이, 상판 공사 및 마무리 공사는 한국이 한 남북합작의 다리인 셈이다. 그래서. 이 다리를 잘 살펴보면, 서로 다른 양식이 자리잡고 있다. 이름도 이승만의 '승'과 김일성의 '일'이 합쳐저서 승일교라 불리게 되었다. ========================== | 불펌 금지 | ==========================

교동도 선착장 바로 앞에 있는 폐가

교동도선착장에 내려서, 1박2일로 유명해진 대룡시장으로 가기 위해서는 첫 삼거리에서 좌회전한다. 그 훨씬 전이니까, 거의 교동도 선착장 주변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지나가다가 폐가가 보여 들렀었다. 조금은 독특한 구조 덕에, 그 이후 교동도에 가면 들르는 또 하나의 폐가가 되었다. 원래 폐가나 폐교가 그렇지만, 그냥 찍기보다는 암만해도 모델이 있어야 좋은데, 모델 사진은 영 재주가 없으니... ㅠㅠ ========================== | 불펌 금지 | ==========================

한강대교가 내려다보이는 흑석동전망대

한강대교가 내려다보이는 이곳을 대개 흑석동전망대라고 부른다. 하지만, 행정구역상으로는 노량진동이다. 한강대교 남단에서 흑석동 방향 큰길 옆에 골목으로 올라 용봉정근린공원으로 올라, 주차하고, 우측 골목으로 조금만 들어가면 한강대교가 한눈에 보이는 곳에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나름 입소문으로 많이 알려진 곳이라, 항상 누군가가 삼각대를 펼쳐놓고 있다. ========================== | 불펌 금지 | ==========================

어느 곳이 진짜 철원 향교인지 헷갈리던 날...

철원향교를 검색하면, 크게 3종류의 철원향교가 나온다. '구 철원향교', '철원향교지', '철원향교' '구 철원향교'를 찾아가면, 입구에 철원향교 안내표지가 있지만, 내부는 카페 연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하고 있는 곳이다. '철원향교지'는 말 그대로 옛 철원향교의 건물터이다. 하지만, 왕건 사저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유적이란 느낌을 받기도 어려운 그냥 터일뿐이다. 도피안사 입구에 있는 '철원향교'는 최근에 지은 향교이다. 우리가 갔을 떄는 마침 문이 닫혀있어, 그냥 담너머로만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 지은 건물이라 그런지, 향교라는 이름과는 어딘지 잘 안 어울리는 듯 하다... ========================== | 불펌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