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대 19

서해에서 바다 일출을 감상할 수 있는 마량포구

서천에 있는 마량포구는 당진의 왜목마을과 함께 서해에서 바다일출을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왜목마을은 몇번 가봤지만, 마량포구는 가 본 적이 없어서 새벽길을 마량포구로 정했다. 왜목마을은 옆에 모래사장과 해수욕장도 있고, 아기자기한 풍경들이 있지만, 마량포구는 달랑 포구뿐이다... ㅠㅠ서해에서 바다일출을 볼 수 있다는 점 외에는 사실 특별하게 시선을 끄는 것은 별로 없어 보였다. 그래서, 등대 사이로 뜨는 일출을 담아 보려 했지만, 낮게 깔린 해무(?)로 그것도 무산.... ㅠㅠ ========================== | 불펌 금지 | ==========================

속초해변에서 맞이했던 일출

동해안은 어디나 다 일출포인트이다. 단지, 철조망이 막고 있는지, 혹은, 사진의 양념이 될 피사체가 있는지, 등이 문제일 뿐이다. 그러나, 어디나 어선이 있어, 철조망만 없다면 찍을 거리는 충분한 듯 하다. 속초해변도 마찬가지였다. 특별한 피사체가 없었어도, 어선, 등대, 그리고 해변에 나온 사람들이 사진을 심심치 않게 해주었다. ========================== | 불펌 금지 | ==========================

울진 죽변리의 드라마세트장과 죽변등대, 그리고 대나무숲

경북 울진군 죽변면 죽변리에 있는 SBS드라마 "폭풍 속으로" 촬영장..... 원래 TV드라마를 잘 안 보다보니, 솔직히 그런 드라마가 있었는지조차 잘 모르지만, 울진을 지나다 우연히 알게된 곳이다. 대부분의 세트장이 그러하듯, 바닷가 풍광 좋은 곳에 세트장이 꾸며있다. 정말 이런 곳에서 살면 좋으련만.... 촬영장이라고, 찾는 이들이 참 많다... 하지만, 안에는 이미 촬영이 끝났기에 그런지, 텅텅 비어있다... ^^ 바로 윗편에 작은 교회가 하나 있는데, 이 역시 세트장일 뿐이다..... 세트장 바로 옆에는 죽변등대가 있다.죽변등대는 일제강점기였던 1910년에 세워진 울진지역 최초의 등대이다. 6.25때 폭격으로 부서진 것을 보수한 것이라고 한다. 이 동네 지명은 "죽변"이다. 즉, 대나무 가장자리라..

해가 없었던 영덕해맞이공원

지난 번에 호미곶은 갔으니까, 동해안 7번국도를 영덕에서 시작하기로 하고, 영덕 해맞이공원을 출발기점으로 삼았다. 하지만, 일출은 없었다. ㅠㅠ 어쩌다 내려오면서 일출을 보기는 역시 어렵다. 내려가기 전, 이곳 사진들을 검색해봤는데, 별로 검색된 사진들이 많지 않다. 일출과 함께 담을 피사체가 마땅치 않은 탓이 아닌가 싶다.하지만, 없으면 만들면 되는거니까... 흐리멍텅한 날씨 덕에 천상 다음을 기약하며... ========================== | 불펌 금지 | ==========================

동해안 최북단 1종 어항, 대진항

대진항은 동해안에서 최북단에 위치한 1종 어항이며, 최북단 유인등대가 있는 곳이다. 통일이 되면, 이 '최북단'이란 단어는 없어지겠지만..... 명태의 주산지로 유명했던 대진항은 정어리, 청어도 많이 잡히던 곳인데, 지구 온난화때문에 이제는 명태 출하량이 예전같지는 못하다. 이곳 등대는 북방한계선 근처에서 작업을 하는 어선들에게 경계선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등대는 맨 위의 조명실을 제외하고는 개방되어 있다는데, 올라가보지는 않았다. 다음 기회에... ^^; ========================== | 불펌 금지 | ==========================

안개 자욱했던 안섬

왜목마을을 들렀다가 올라오는 길에, 안섬이라는 표지가 보여, 무턱대고 들렀다. 요즘은 테블렛으로 어디서건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어서, 운전 중에 잠시 차를 세우고 검색을 하고 그냥 간다. 안섬공원이 있다고 해서, 원래는 그리로 목적지를 삼았는데, 이 날 안개가 너무 심하다. 하긴 중간에 들렀던 한진포구에서도 바로 앞의 바다가 안 보인 날이니... 결국은 그냥 지나가던 배 한척 담고는 포기... ㅠㅠ ========================== | 불펌 금지 | ==========================

흔적도 찾기 어려운 강경포구(황산포구)

대구, 평양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시장의 하나였던 강경... 강경포구는 내륙으로 수산물이 옮겨지는 요충지였다. 수많은 배들이 금강을 따라, 강경으로 들어왔었다.그래서, 강격은 내륙임에도 불구하고, 등대가 있었다. 또한, 뱃길을 따라 서양문물이 들어오기도 한 곳이다.천주교와 개신교가 들어온 곳도 이곳을 통해서였다. 그러나, 금강하구댐이 생기면서 뱃길이 끊겼고,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던 황산나루도 1988년 황산대교가 준공되며 사라졌다. 이제는 옛 영화를 찾을 길도 없이, 복원되었다는 정체불명의 등대만 외로이 자리하고 있다. ========================== | 불펌 금지 | ==========================

출사 기록 2013.11.18

1박2일 덕분에 갑자기 떠버린 속초 아바이마을

1박2일에 나오면서 뜨는 곳들이 참 많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가 속초 아바이마을같다. 1박2일 멤버들이 그곳에서 오징어순대와 생선구이를 먹는 것을 보고, 그들이 먹은 음식을 먹기 위해 많은 이들이 몰려드는 곳이다. 하지만, 최근 어느 프로에서 나왔듯이, 이곳에는 실제 직접 오징어순대를 하는 곳이 없다고 한다. 전부 같은 공장서 납품받아 파는 것들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오징어순대는 차라리 서울서 먹는 것이 나은 듯 하고, 생선구이는 먹을만한 생선도 별로 없고..... ㅠㅠ 실망만 가득 하고 눈을 돌리니, 차라리 저 멀리 다정한 모자가 눈에 띈다. 이게 꿩 대신 닭인가..... ㅠㅠ ========================== | 불펌 금지 | ====================..

노을 속에 들른 격포항

변산반도 서쪽에 있는 격포항은 조선시대에 전라우수영 관할의 격포진이 있던 곳이다. 현재는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어선들이 드나드는 항구이다. 부안솔섬에서 일몰을 담고, 귀경하는 길에 바로 옆, 격포항에서 노을과 야경을 잠시 담았다. 어두워지는 시간에도, 가족들과 산책을 하는 이들, 밤낚시를 하러 나온 이들.... 격포항의 낮은 그렇게 긴가보다... 주변에는 채석강, 적벽강, 수성당, 등의 관광지가 많아, 이곳도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다. ========================== | 불펌 금지 | ==========================

외국같은 요트풍경이 있는 전곡항

안산시 탄도항과 마주보고있는 화성시 전곡항은 매년 코리아매치컵 세계 요트대회 가 열리는 곳이다. 마치 미국 캘리포니아 해변에서 보는 듯한 크고 작은 요트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대개 일몰은 건너편 탄도항에서 많이 담는데, 전곡항에서 요트와 함께 담는 일몰풍경도 색다른 묘미가 있다. ========================== | 불펌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