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궐

작지만, 대한제국의 정궁이었던 덕수궁 서울시청 바로 앞에 있는 덕수궁... 개인적으로는 초등학교 6학년 마지막 어린이날을 보냈던 곳인데... ^^; 예전에는 고궁에서 교내미술대회같은 것을 많이 했다. 그래서, 덕수궁하면, 내게는 그런 기억만 남아있는 듯 하다. 원래 덕수궁은 궁궐로 지었던 것은 아니다. 임진왜란으로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선조가 다시 한양으로 돌아와 임시거처로 사용하며 정릉동행궁이라 하였다. 선조는 이곳을 행궁으로 삼고, 죽을 때까지 이곳에서 지냈다. 광해군도 이곳 덕수궁에서 즉위하였다. 즉위 후, 창덕궁을 보수하여 거처를 옮긴 후, 경운궁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인목대비가 폐위된 뒤에 이곳에 유폐되어, 당시에는 이곳을 서궁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인조도 이곳에서 즉위하였으나, 거처를 창덕궁으로 옮기고, 원래의 주인에게 가옥과 대.. 더보기
한때는 비원으로 불렸던 창덕궁 창덕궁은 태종이 지은 궁궐로, 경복궁 이후에 지은 궁궐이다. 한때는 궁이 아닌 그냥 비원으로 불리기도 하였지만, 다시, 옛 이름인 창덕궁을 되찾았다. 비원은 창덕궁의 후원으로, 왕을 위한 정원이었다. 예전에는 창덕궁 전체가 시간에 맞춰서 안내원을 따라서 구경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비원만 예약제로 관람이 허용된다. 경복궁이 정궁이었지만, 많은 왕들이 경복궁보다는 창덕궁을 더 선호하였다. 경복궁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동궐이라고도 불리웠던 창덕궁은 경복궁과 함께 임진왜란 때에 모두 불 타버렸다. 이후, 경복궁보다 창덕궁을 먼저 복원하였고, 창덕궁이 정궁으로 사용되었다. 낙선제는 어릴적만해도 들어갈 수 없었던 곳이었다. 왜냐하면, 이곳에 마지막 왕세자인 영친왕의 부인 이방자여사가 이곳에 계셨기 때문이다. 해방.. 더보기
조선 왕실의 사당, 종묘 종묘는 조선시대의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유학이 국가이념이던 조선시대, 왕실 사당인 셈이다. 하지만 종묘제도가 중국의 우나라 시대부터 있었다고 하니, 공자 이후에 생긴 것도 아니고, 반드시 유학의 산물이라고 할 수도 없을 듯 싶다. 지금의 종묘는 태조가 한양으로 천도할 때 중국의 제도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당시에 불에 타, 광해군 때 다시 중건하였다고 한다. 요즘 종묘를 구경하려면, 시간에 맞춰 입장해서 문화재해설사를 따라다녀야 한다. 나쁜 건 아닌 듯도 하지만, 그냥 예전같이 일반 관람도 할 수 있으면 더 사진 담기도 편할텐데... ========================== | 불펌 금지 | ========================== 더보기
고대 백제의 어마어마한 궁궐을 재현했다는 백제문화단지 부여에 있는 백제문화단지 1994년부터 2010년까지 총 17년에 걸쳐서 조성된 이곳은 백제 왕궁인 사비성과 백제 초기의 궁성인 위례성 등의 백제궁궐을 재현해 놓은 곳이라고 한다. 기록도 남아있지 않은 왕궁을 어떻게 재현했다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게다가, 더 넓은 영토를 갖고, 더 강력한 중앙집권을 이루었던, 조선 궁궐보다도 더 대단한 궁궐을 고대시대에 왕의 권한이 그리 막강하지도 않던 작은 백제에서 사용했었다고??? 개인적으로는 조금 과장이 심한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정말 이렇게 경복궁보다 더 멋졌을까???글쎄다...상상의 나래를 너무 펼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너무 심해서 그런것인지는 몰라도, 한가지 좋은 것은 사람이 별로 없다는 것??? 하지만, 솔직히 다른 이에게 권하고 싶지는 않다... .. 더보기
동물원에서 궁궐로 복귀한 창경궁 어릴 적, 창경궁은 창경원이었다.그때의 기억이 머릿속에 남아 아직도 종종 창경원이란 단어가 익숙하다. 원래 창경궁은 원래 세종이 상왕인 태종을 모시기 위해 지은 수강궁이 있던 곳이다.달리 이야기하면, 고려왕조를 무너트린 태종 이방원이 말년에 거처하던 곳이다. 이를 성종이 당시의 대왕대비인 정희왕후 윤씨, 성종의 생모인 소혜왕후, 예종의 계비 안순왕후 한씨를 모시기 위해 수강궁을 확장해서 지은 별궁이 창경궁이다.하지만,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타버려, 광해군 시절에 재건되었다. 일제가 1909년 창경궁의 건물들을 헐어내고, 동물원과 식물원을 설치하며, 이름을 창경궁에서 창경원으로 낮추었고,벚꽃나무를 수천그루 심고, 1924년부터 밤 벚꽃놀이를 시작하였다.이떄 시작된 밤 벚꽃놀이는 창경궁 복원계획에 따라 198.. 더보기
서울고등학교가 떠나고 복원된 경희궁 지금은 서울고등학교가 서초동에 있지만, 예전엔 신문로에 있었다. 그곳이 원래는 궁궐이었다는 이야기만 들었었는데, 그 궁궐을 복원한 것이 경희궁이다. 원래 경희궁은 광해군이 지었지만, 인조반정으로 쫓겨나 경희궁에 들어보지는 못했다고 한다. 숙종, 경종이 이곳에서 태어났고, 숙종과 영조는 이곳에서 승하했다고 하고, 정조와 헌종은 이곳에서 즉위식을 했다고 하니, 아마도 지금보다 훨씬 큰 규모였을 것이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인 1907년 통감부 중학이 들어서고, 1915년 경성중학교가 설치되었다. 해방 후에는 서울고등학교로 사용되면서 주변 부지가 매각되어, 그 규모가 더욱 줄어들었다고 한다. 1980년 서울고등학교가 서초동으로 이사하고, 이후, 발굴작업을 하고, 다시 경희궁을 복원하였다.그러다보니, 경희궁의 .. 더보기
대한민국의 중심을 지키는 경복궁 대한민국 사람이면 다들 아는 경복궁, 조선시대, 일제 강점기, 그리고 해방이후 청와대까지 이 나라 권력의 중심은 경복궁에 있다.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그리고 최근에 복원한 경희궁까지 여러 조선 궁궐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으뜸인 궁궐이 경복궁이다. 태조 이성계가 한양을 도읍으로 삼고 건설한 궁궐이 경복궁이고, 임진왜란 이후, 다시 대원군이 왕권강화를 위해 불 탄 경복궁을 재건한 것도 경복궁이 조선의 정궁이자 법궁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적통이란 이야기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시절에 많은 건물들이 사라졌고, 그 자리에 중앙청이 자리잡았던 것을, 다시 중앙청을 헐고, 요즘은 옛 건물들 복원 작업이 한창이다. 개인적으로는 일제 강점기도 역사인데, 과연 중앙청을 무조건 헐어버린 것이 옳은 일인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