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옥

퇴계 이황선생이 태어난 퇴계태실 경북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 있는 퇴계태실은 퇴계 이황선생이 태어난 생가이다. 원래 퇴계의 조부인 이계양이 1454년에 지은 집이다. 이후, 1930년대에 전면 개축되었다고 한다. ========================== | 불펌 금지 |========================== 더보기
시냇가 계정이 독특한 경주 독락정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있는 독락당(獨樂堂)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 선생이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지은 주택이라고 한다.일반인에게 개방되어 있지만, 전체가 개방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곳은 실제 거주하고 계신 분들도 계시고, 한옥체험을 위한 숙박도 가능하다고 한다. 따라서, 일부만 개방되어 있다. 하지만, 이런 멋진 전통가옥을 구경할 수 있다는 것만도 행복인 것 같다. 독락당에서 다른 전통가옥에서는 만날 수 없는 독특한 건물이 계정이라고 불리는 건물이다. 언듯보면 정자와 가옥이 혼합된 형태같이 보이는 이 건물은 냇가에 면하고 있어, 가만히 앉아만 있어도 신선이 된 듯한 착각을 줄 것 같다.시냇물 건너편에는 이언적 선생을 기리는 옥산서원이 있다. 그처에서 만난 나무의 모습이 .. 더보기
'ㄱ'자 구조의 한옥교회, 두동교회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두동교회 구(舊)본당은 1929년에 지어진 한옥 교회이다.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179호로 지정되어 있는 이 교회의 특징은 'ㄱ'자 형태로 지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유교의 영향이 남아있던 시절, 남자와 여자의 예배공간을 분리하면서 한명의 목사가 예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ㄱ'자 구조의 양쪽 안을 보면, 설명이 없어도 어느 쪽이 남자 자리이고, 어느 쪽이 여자 자리인지, 바로 알아볼 수 있다..... ^^ 바로 옆에는 새로 지은 두동성당 신본당이 있다. ========================== | 불펌 금지 | ========================== 더보기
경주 양동민속마을 경주 양동마을은 안동의 하회마을과 더불어 조선시대 양반마을의 전형이 그대로 남아 있는 국내에서 가장 큰 민속마을의 하나이다. 어떤 면에서는 너무 상업화된 하회마을보다 훨씬 나은지도 모르겠다. 경주와 포항을 연결하는 국도 중간, 안강에서 조금 들어가면 나타나는 양동마을은 마을 전체가 문화재인 곳이다. 이곳도 아직 사람들이 살고 있는 가옥들이다. 역시 사람이 살아야, 집도 사는 것 같다. 6.25 한국전 당시에 남과 북이 대치하며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낙동강 전선이 형성된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행히도 전통한옥이 잘 보존되어 현재에 이르르고 있다. 방문객은 마을 입구 주차장에 주차하고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야 한다. 어차피 제대로 구경하려면 걸어서 돌아봐야 한다. 그동안 다녔던 전통마을들 중에서 가장 크.. 더보기
관광지가 되어버린 전주 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은 전라북도 전주시 풍남동과 교동 일대의 700여 한옥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그러나, 1977년 한옥마을 보존지구로 지정된 이후, 이제는 유명 관광지가 되어버린 것 같다. 바로 옆에 경기전과 전동성당, 그리고 풍남문이 함께 있고, 촌장님이 전주에 계시기에 종종 갔었다. 하지만, 전주한옥마을은 대학가인듯한 이름의 유흥가가 되어버린 홍대앞과 같이 그냥 관광지, 혹은 먹고 노는 곳들로 가득한 곳인 듯한 느낌이라, 개인적으로는 그곳에서 한옥마을의 느낌을 갖지는 못하는 곳이다. 입구부터 계속되는 음식점과 카페들, 그리고 먹거리들... 그래도, 많이 회자되는 곳이기는 하기에..... ========================== | 불펌 금지 | ========================== 더보기
풍양조씨 호군공파의 종가, 상주 오작당 상주 양진당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오작당이라는 고택이 있다.이 집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조정이 1601년 (선조 34년)에 현재의 양진당 자리인 요포(繞浦)에 지은 집으로, 1661년(현종 2년)에 지금의 자리로 이건하였다고 한다. 요기서 조금은 헷갈린다. 양진당 자리에 1601년에 세우고, 1661년에 이건했다는데, 양진당은 1626년에 지었다면, 아직 그 자리에는 오작당이 있었을텐데...모르겠다..... ㅠㅠ 당시에는 40칸이었으나, 현재는 안채, 사랑채, 그리고 가묘가 남아있다. 상주의 양진당과 오작당은 모두 조정이 지은 집들이다. 당시에 집장사가 있었을리 만무하고... ^^;학자이지만, 건축에도 참 관심이 많았었나보다... 양진당은 사람이 살고 있지않지만, 이곳 오작당은 아.. 더보기
풍양조씨 연수원, 상주 양진당 양진당을 검색하면, 안동 양진당이 많이 나온다. 류시원 이야기도.... 하지만, 양진당이 안동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상주에도 양진당이 있다. 안동의 양진당은 종가집이지만, 상주의 양진당은 입구에 '풍양조씨연수원'이라는 팻말이 있다.(풍양 조씨는 학교때, 안동 김씨 중간에 잠시 외척 세도를 부리던 것으로 배운 듯 한데...) 상주 양진당은 검간(黔澗) 조정(趙靖)이 1626년 처가인 안동의 천전동에 있던 가옥을 옮겨 지은 것이라고 한다. 원래는 99칸이었으나, 23칸만 남은 것을 복원했다고 한다. 양진당은 흔히 보는 다른 전통 한옥과는 달리 건물 바닥이 땅에서 1미터 가량 높게 만들어져 있다. 1966년 대홍수 때, 사랑채가 쓰러졌다는 걸로 보아, 이곳이 자주 침수되었기에 그런 구조로 만든 것인지 모르겠다.. 더보기
중요민속자료로 등록된 보은군 선병국 가옥 시냇물이 양쪽으로 흘러 육지속 섬과 같은 곳에 위치한 선병국 가옥은 입구에 소나무 숲이 찾는 이를 맞이한다. 1984년에 중요민속문화자료 제134호로 지정된 고택이다.고종 40년(1903년)에 보성 선씨씨 가문의 선영홍이 이곳에 정착하고, 1919년부터 1924년까지 아들 선정훈과 함께 지은 집이다.이때 도편수로 참여한 이는 궁궐 목수였던 방대문이라고 한다. 전통 한옥의 양식을 그대로 지니고 있지만, 개화기 일본 등의 영향을 받은 개량식 한옥으로로,제수채와 사당을 연결하는 복도채를 지니고 있다.현재는 안채, 사랑채, 사당 등이 남아있다. 이곳의 장맛은 꽤 유명하다고 한다.직접 담은 장을 판매도 한다는데,다음에는 한번 사와볼까... ========================== | 불펌 금지 | ====.. 더보기
개화기의 개량식 한옥, 선병국 가옥 충남 보은에 있는 선병국 가옥은 1984년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한옥으로 보성선씨 가문의 고택이다. 하지만, 선병국 가옥은 수백년 된 고택은 아니다. 1900년대 초에 지어진 집으로, 개화기 초의 개량식 한옥양식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민속문화재이다. 과거의 고택들과는 달리, 벽돌이 사용되었고, 사랑채나 안채의 크기도 다른 고택들보다 훨씬 크다. 또한, 복도채가 있어, 비바람이 쳐도 제례 등을 치루는데 지장이 없게 되어 있다. ========================== | 불펌 금지 | ========================== 더보기
성북동 최순우 옛집 성북동에 있는 최순우 옛집은 '부석사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서서'라는 글로 유명한 혜곡 최순우 선생이 살던 집이다. 1930년경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집은 전형적인 서울 경기지방의 한옥 양식을 지니고 있다. 어릴 적 보아왔던 한옥과 크게 다르지는 않아 보인다. 물론, 당시 우리집 보다는 훨씬 좋고 크지만... ^^;;; 최순우 옛집은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지만, 그것은 2006년 일이다. 최순우 옛집이 내게 더 달리 느껴진 것은 이 집을 문화재로 지킨 이들이 정부가 아니라 시민이라는 것이다. 2002년 주변 재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이 집을 '내셔널트러스트'라는 시민운동으로 구해서, 관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맨날 부수고 새로 짓기만 좋아하는 시대에 따듯한 이야기다. ================.. 더보기
옥정호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위 한옥찻집, 하루 옥정호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운치있는 한옥으로 꾸며진 찻집, 하루... 전주에서 목회활동을 하시는 촌장님께서 아끼시는 찻집이다. 촌장님 덕분에 멋진 찻집에서 좋은 시간을 갖을 수 있어, 오래 기억에 남을 듯 하다. 다음에 옥정호에 가면, 꼭 가보고 싶은 곳... ^^ 웬 외국인?부인이 한국사람이란다... ^^ 분위기가 좋아그런지, 입구 바로 옆, 돌담길에서 웨딩촬영이 한참이다. 그래서 옆에서 한장... 지금이 좋을 때지..... ^^;;; ========================== | 불펌 금지 | ========================== 더보기
만해 한용운의 옛집, 심우장 성북동 북정마을 바로 아래 산동네에 만해 한용운의 옛집, 심우장이 있다. 이 집은 1933년 만해 한용운이 짓고 거주했던 한옥이다. 대개 우리나라 집들이 남향이지만, 이 집은 특이하게 북향이다. 만해 한용운이 남향으로 터를 잡으면 조선총독부와 마주보게 된다고, 남향을 거부하고, 반대편의 북향터를 선택했다고 한다. 만해 한용운 선생이 돌아가신 후, 그의 외동딸인 한명숙씨가 살았으나, 일본 대사관저가 이곳 건너편으로 오자, 명륜동으로 이사하고, 이곳은 만해의 사상연구소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 | 불펌 금지 | ========================== 더보기
강화읍에 있는 한옥성당, 성공회강화성당 강화도 강화읍내에 위치한 성공회 강화성당은, 용흥궁 뒤, 강화고려궁지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1896년 강화에서 처음으로 한국인신자가 세례를 받은 것을 계기로, 1900년에 한국 최초로 세운 성공회성당이다. 이곳의 가장 큰 특징중의 하나는 한옥으로 지은 성당이라는 것이다. 다른 지역보다 성공회가 일찍부터 자리잡은 강화도에는 이곳, 강화읍의 강화성당 외에도, 온수리에 있는 성 안드레성당이 한옥으로 건축된 성당이다. 온수리 성 안드레성당과 다른 점은, 아직도 이곳에서 미사를 본다는 점이다. 일요일 오전에 들렀을 때, 때마침, 이 오래된 한옥성당에서는 미사가 집전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사진을 책 표지로 사용한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출간한 성공회 서적.... ^^* 꼭 절에서만 예불시간 맞춰 타종을 하는.. 더보기
전통 정원, 행궁 등의 옛모습으로 꾸며진 월미공원 월미도에 있는 월미공원은 원래 군부대가 있던 곳이다.군부대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들어선 것이 월미공원이다. 월미공원에는 조선식의 전통정원, 옛 행궁, 전통가옥, 등을 조성하여 놓았고, 언덕 위에는 전망대를, 뒷편으로는 한국이민사박물관이 조성되어 있다. 하지만, 게으른 내가 언덕 위 전망대까지 오르지도 않고, 실내의 박물관도 안 가고, 하다보니... ^^;;; 옛 정원과 행궁 등을 조성한 것은 나름 좋은데, 너무 이곳 저곳의 것들을 베껴놓은 것 같아서, 조금은 아쉽다. 한켠에는 전통의상 체험장이 있다. 요즘은 집에 한복 없는 사람도 많은 세상이니까... 외국인들에게는 아마도 참 신기할거다. 하긴, 우리도 외국가면 신기하다고 구경하니까.. ^^; ========================== | 불펌 금.. 더보기
서울의 대표적인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 북촌한옥마을은 창덕궁과 경복궁 사이에 한옥들이 많이 남아있는 동네이다.뒤늦게 공원같이 조성된 남산한옥마을과는 달리, 사람이 사는 보다 인간적인 한옥마을이 북촌 한옥마을이다. 원래 조선시대에 고급관리와 왕족들이 살던 그 시대의 부촌지역이었다. 예전 4대문 안, 그 중에서도 궁궐과 가까운 곳이었으니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하지만, 대부분의 과거 세도가의 집들은 대부분 사라졌고, 지금은 그 이후에 지어진 한옥들만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아마도 남아있는 한옥들 중에서 가장 제대로 남아있는 곳은 윤보선 전 대통령의 집이 아닐까 싶다.2공화국의 대통령을 지냈던 윤보선 전 대통령의 집은 유신시절, 윤보선 전 대통령의 반 유신활동으로, 항상 경찰이 에워쌓고 있었지만, 이제는 지나가는 이들이, 대문앞을 지나며 "이 .. 더보기